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우리에게 ‘쌀’이 있다면 중국인에겐 ‘돼지고기’가 있습니다.<br><br>이 돼지고기 가격이 엄청나게 올라 중국 경제 전체가 휘청인다는데, 당국이 비축량을 풀어도 안정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가 <br> 따로 있습니다. <br> <br> 이른바 '피그플레이션'. <br><br>그 실태를 공태현 특파원이 중국의 시장을 다니며 생생하게 전해왔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 동 트기 직전 오토바이와 수레가 분주히 움직입니다. <br> <br> 빨간옷을 입고 돼지고기를 옮기는 상인들의 발걸음은 바빠집니다. <br><br>"저량안천하" <br> <br>돼지고기와 식량이 천하를 평안케한다는 중국 속담이 있을 만큼 중국인의 돼지 사랑은 각별합니다. <br> <br>돼지 가격 하나로 물가 수준이 결정될 정도라 피그플레이션이란 말까지 만들어졌는데요. <br> <br>최근 상승하는 돼지고깃값에 비상이 걸린 돈육 도매시장의 새벽 모습을 살펴보겠습니다.<br> <br> 오늘의 돼지고기 가격이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표시됩니다. <br> <br> 칼로 고기를 손질하는 소리만 들리고 구매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 <br> <br>[신파디 돈육 시장 상인] <br>"분명히 이전보다 비싸졌어요. 10월 초보다도. 별로 안 팔려요. 오는 사람이 없어요. (뭐라고요?) 사람이 없어요!" <br><br>석 달 전 다녀왔던 재래시장을 다시 찾았습니다.<br> <br> 중추절과 국경절 연휴를 거치면서 당국이 돼지고기 수급량을 조절했지만 가격은 더 올랐습니다. <br><br>직접 삼겹살을 사봤습니다. 지난달보다 2위안 오른 가격인데요. 상인들도 어려움을 호소합니다.<br> <br>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각 지역의 봉쇄와 해제가 반복돼 수요과 공급이 들쑥날쑥하고 수입 물량까지 끊긴 탓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[전통시장 상인] <br>"(코로나 때문에) 수입 고기가 안 들어오니까 무조건 가격이 올라가니까 국가에서 비축육을 넣고 있어요." <br> <br> 당국이 돼지고기 가격에 민감한 이유는 돼지고기 소비가 우리나라의 쌀 소비와 비교될 정도로 가계 지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 지난해 중국인 1명이 소비하는 평균 돼지고기는 40.1kg로 전세계 인구 1명 소비량의 3배에 달합니다. <br><br>[베이징 시민] <br>"괜찮아요. 그냥 먹고 살 겁니다. 비싸도 먹어야죠." <br> <br>[베이징 시민] <br>"돼지고기를 제일 많이 먹어요. 그냥 습관 같아요." <br> <br> 당국이 산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 구성 항목 가운데 돼지고기 가격은 2%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<br> 실제 돼지고기 도매가는 반년 새 3배 가까이 급등했고, 지난 9월 소비자물가는 당국 통제 기준인 3%에 근접한 2.8%까지 올랐습니다.<br><br>2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.<br><br>음식점도 어려움을 겪긴 마찬가지. <br><br> 급등하는 식재료 가격 만큼 음식값을 올리자니 손님들의 반발이 우려됩니다. <br> <br>[김광상 / 베이징 삼겹살집 사장] <br>"소매시장에서 구입하는 거보다는 도매시장가서 구입하는 게 조금 더 원가 절감할 수 있을까해서 몸으로 뛰고 있습니다." <br> <br> 돼지고기 물가는 더욱 들썩일 수 있어 당국은 민심을 예의주시하며 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았습니다. <br> <br> 후베이성엔 26층 짜리 세계 최대 규모의 돼지 사육 호텔을 지어 매년 60만 마리 사육하기로 했고 대리모를 통해 복제 돼지를 대량 출산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로봇 기술도 개발하는 등 자급률을 높이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 <br>공태현 특파원 <br> 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공태현 기자 ball@ichannela.com